study/TIL🐥 52

ERP란?

기업에서 전사적 자원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를 줄여서 부르는 용어이며, ERP는 조직이 회계, 구매, 프로젝트 관리, 리스크 관리와 규정 준수 및 공급망 운영 같은 일상적인 비즈니스 활동을 관리하는 데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유형을 나타냅니다. ERP을 활용하면 여러분의 비즈니스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해서 보다 큰 그림으로 바라볼 수 있으며, 비즈니스의 다양한 부문에서 만들어지는 수많은 보고서들을 하나의 소프트웨어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매출이나 인사관리, 물품/재고, 고객관계관리(CRM), 구매/재무, 전자상거래 등을 관리할 수 있다. ERP 시스템은 여러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하나로 묶고 이들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가능하게 합니다. 여러 소스에서 조직의..

study/TIL🐥 2021.01.05

하드디스크 연결 규격

IDE (a.k.a. PATA) (Intergrated Drive Electronics) 가장 구형 규격의 연결 방식. 병렬 ATA라고도 부름. 전송 속도가 느리지만 버전별로 속도가 다름(향상된 버전 : E-IDE) SATA (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IDE 방식이 발전되어 나온 규격으로 PATA 규격보다 향상된 전송속도와 연결방식을 제공. 직렬 ATA라고도 부르며 버전이 나뉘어지는데 SATA1은 150MB/s, 2는 300MB/s가 최고 속도이다. SATA3, 노트북을 위한 mSATA등의 다양한 버전이 있고 4GB/s 속도를 가진 고성능 버전도 있다. 그리고 탁월한 안정성을 보장하여 현재에도 특수한 목적의 전문적인 컴퓨터에서 변함없이 사랑받고 있다. SCSI..

study/TIL🐥 2021.01.05

[JSP] Mybatis와 Oracle 연동하기

기존에 수업 예제는 Mybatis와 MySQL을 연동했다. Oracle의 프로시저 SQL을 배우면서 MyBatis와 연동하면 기존 MySQL보다 구문이 더 깔끔해 질 것이라고 했다. 기존의 모델은 위쪽의 모델이였다면, 이번엔 아래쪽의 모델로 작성해 볼 계획이다. ✅ 아래쪽의 모델은 개발이 아닌 DB에 중점을 맞추는 작업이다. 위쪽의 모델은 개발이 중점, 빠른 시간 내에 개발을 할 경우에 사용하도록 하고, 아래쪽의 모델은 DB 중점, 오랜 시간 개발해야 하는 프로젝트에 사용된다. 최종 프로젝트의 경우 위쪽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지금 이것은 그냥 스터디! 1. 오라클 접속 확인 import java.sql.Connection; import java.sql.DriverManager; import java.sq..

study/TIL🐥 2020.12.29

컴퓨터 Memory

Memory Memory? PC에 사용되는 모든 기억장치들을 통틀어 지칭하는 용어. Memory 의 종류 (메모리구조별 분류) 레지스터 극히 소량의 데이터나 처리 중인 중간 결과와도 같은 프로세서가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를 담고 있는 영역을 레지스터라고 한다. 컴퓨터 구조에 따라 크기와 종류가 다 양하다. 캐시 메모리 메인 메모리보다 빠르고 작고 매우 비싼 메모리이며, 레지스터와 함께 메모리 계층 구 조의 전통적인 핵심 계층 중 하나이다. 프로그램에서 직접적으로 읽거나 쓸 수 없고 하드웨어의 메모리 관리 시스템이 내부적으로 제어한다. 대부분 프로그램은 한번 사 용한 데이터를 다시 사용할 가능성이 높고, 그 주변의 데이터도 곧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 데이터 지역성을 가지고 있다. 데이터 지역성을 활용하..

study/TIL🐥 2020.12.29

MySQL의 마스코트는 왜 돌고래인가?

MySQL 돌고래 로고는 2001년에 만들어졌습니다 창립자들 에게 로고에대해 물었고 공동설립자인 Monty는 돌고래를 좋아한다고했습니다 이유는 빠르고 지능적 이며 친절하고 그리고 무리로 상어를 죽입니다 그렇게 돌고래로 결정이 났습니다 처음 디자인 초안은 돌고래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점프를 하는 모습 이였다고 했습니다 왜냐하면 글쓰기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되는 문화 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좀더 파괴적이고 달라지기를 원했던 창립자들 은 디자이너에게 돌고래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점프하도록 요구했고 그것이 지금 나온 로고 입니다. 몇년후에 돌고래에게 이름을 붙이고싶었고 돌고래 이름 공모전을 실시 해 수백개의 이름을 제안받았고 고르기 가 어려워서 공동 창립자인 앨런 에게 결정을 내리도록 요청을 했습니다 그는 ..

study/TIL🐥 2020.12.28

파일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

1. 파일 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란? 파일 시스템은 컴퓨터에서 파일이나 자료를 쉽게 발견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것 을 가리킨다. 대부분의 운영체제가 파일 시스템을 가지고 있고, 윈도우는 NTFS(New Technology File System) 리눅스는 ext4 가 그 예이다. 파일 시스템의 주요 관심 대상 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으로, 모든 응용 프로그램에서 개별적으로 파일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파일 시스템은 여러 문제와 한계를 지니게 되었고, 이에 데이터베 이스 시스템이 등장하게 되었다.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사람들이 공유하여 사용할 목적으로 체계화해 통합, 관리하는 데이 터의 집합을 의미한다.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통해 사용자 또는 프 ..

study/TIL🐥 2020.12.28

ORM/NoSQL

ORM? Object Relational Mapping, 객체-관계 매핑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매핑(연결)해주는 것을 말한다. 객체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SQL을 자동 생성해서 sql 쿼리문 없이도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들을 다룰 수 있다. ORM의 장점 객체 지향적인 코드로 인해 더 직관적이고 비즈니스 로직에 더 집중할 수 있게 도와준다. 재사용 및 유지보수의 편리성이 증가한다. 특정 DB에 한정 되지 않기 때문에 나중에 어떤 DB로든 쉽게 migration 가능하다 ORM의 단점 완벽하게 ORM으로만 서비스를 구현하기가 어렵다. 프로시저가 많은 시스템에선 ORM의 객체 지향적인 장점을 활용하기 어렵다 NoSQL? Not Only SQL이라고도 표현되며 SQL 또는 관계형 DB만..

study/TIL🐥 2020.12.27

DAO란?

Data Access Object의 약자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Beans를 DAO라고 한다. 클래스가 private으로 은닉된 멤버변수,멤버변수에 접근하기 위한 getter setter, toString 형식을 갖추고 있으면, beans라고 하고, 빈즈가 데이터를 표현하는 모델일 때는 모델이라고 부른다. 빈즈가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매개체로 사용이 되면, DAO라고 부른다. 빈즈가 데이터를 옮겨줄 때는 DTO라고 부른다. DAO 패턴 표준 J2EE 디자잍 패턴들 중 하나로, DAO 인터페이스, DAO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 데이터 전송 객체로 구성되어 있다. DAO 패턴을 이용하여 저 수준의 데이터 엑세스와 고급 비지니스 로직을 분리 가능하다. 자신이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DAO에게 던지고..

study/TIL🐥 2020.12.27

데이터웨어하우스(DW)란?

데이터 웨어하우스의 정의와 개념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는 사용자의 의사 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분석 가능한 형태로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는 중앙 저장소다. 정보(data)와 창고(warehouse)의 의미가 합성되어 만든 어휘다. 줄여서, DW, DWH, 혹은 Enterprise Data Warehouse (EDW) 라고 불린다. 데이터 웨어하우스(DW)는 1980년대 중반 IBM이 자사의 하드웨어를 판매하기 위해 처음으로 도입했던 개념으로, IBM은 ‘정보창고’의 의미로 인포메이션 웨어하우스(Information Warehouse )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후 이 개념은 많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툴(tool) 공급 업체들에 의해 이론적, 현실적으로 성장하였으며, 1980..

study/TIL🐥 2020.12.27

인텔리제이의 장점

리펙토링 리펙토링이란 이미 개발된 코드를 외부로 드러나는 동작의 변화 없이 재구성하는 과정이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소프트웨어의 동작이 변경되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확실히 하기 위해 리펙토링을 하면서 JUint과 같은 테스트 자동화 툴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매우 큰 도움이 된다. IntelliJ는 이러한 것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개발자로 하여금 간편하고 신속하게 리펙토링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소스 코드의 구조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리펙토링 기법을 적용했을 때 영향을 받는 코드를 자동으로 찾아내고 자동으로 적용한다. 들여쓰기 해 주는 것.. https://nafuture.tistory.com/41#what_is_refactoring 디버거 디버거(영어: debugger) 또는 ..

study/TIL🐥 2020.12.26